책 내용 질문하기
1-169 p,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169
조회수
274
작성일
2017-08-12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 1-169 p

스레드 이진 트리 표현 방법에 대해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아래 설명 중 "어떤 노드의 왼쪽 링크 포인터가 Nil이면 그 노드의 직전에 검사된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사용하고, 오른쪽이면~" 이렇게 설명되어 있는데 1-169 p의 이미지를 보면 Nil인 링크포인터들이 맨 왼쪽과 맨 오른쪽에 있기 때문에 가리키는게 아무것도 없지 않나요? (즉, 직전이나 직후의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 역할을 못하는 것 같습니다.)

2) 1-171 p

'단순 경로'는 같은 간선을 두 번 이상 지나지 않는 경로이고, '기본 경로'는 같은 정점을 두 번 이상 지나지 않는 경로라고 되어 있는데 이 둘의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같은 간선을 지나지 않으면 같은 정점도 지나지 않는거 아닌가요?

'단순 경로'와 '기본 경로'의 차이에 대해 궁금합니다. 인터넷을 찾아봐도 나오지 않습니다 ㅠ

3) 1-172 p

'연결 요소'가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G1의 연결요소는 G1 자신이라고 하는게 무슨 말인가요?

4) 1-173 p

'임계 경로'가 최장 길이를 갖는 경로라고 하는데 그럼 '연결요소'는 최대 연결 서브 그래프이니까 '연결요소'에서 나올 수 있는 경로가 '임계 경로'가 되는 건가요? 설명 부탁 드립니다.

5) 1-176 p

삽입 정렬은 "이미 순서화된 파일에 새로운 하나의 레코드를 순서에 맞게 삽입시켜 정렬"하는 것이라고 설명되어 있는데 어떤 점에서 이미 순서화되었다고 표현하는 건가요? 아래 예제를 보고 삽입 정렬을 하는 방법은 이해하였는데 초기 상태인 8 5 6 2 4 가 어떻게 이미 순서화된건지 모르겠습니다.

6) 1-183 p

이진 트리 검색의 검색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3번(까만색 동그라미의 3번) 내용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i가 0인 경우 검색에 실패한 경우라고 하는데 여기서 i는 뭘 말하는거죠?

답변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017-08-16 10:16:44

안녕하세요.

1)

트리 그림에서의 오른쪽이나 왼쪽이 아니라

운행법에 따라 운행한 순서에서 오른쪽이나 왼쪽을 의미합니다.

1-169쪽의 예제에서 D 노드의 왼쪽 노드인 H가 Nil이므로 D 노드의 직전에 검사된 노드인 H를 포인터를 사용하고

C 노드의 오른쪽 노드인 G가 Nil이므로 C 노드의 직후에 검사될 노드인 G 노드가 포인터로 사용됩니다.

이 내용이 문제로 출제되면 1-198쪽의 18번 문제와 같이 출제되니 해당 문제를 풀어보면서 한 번 더 확인해 보세요.

2)

단순 경로와 기본 경로의 개념은 비슷한데 기준을 간선으로 하는지 정점으로 하는지의 차이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관련 자료가 부족하여 좀 더 자세한 답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3)

1-171쪽 상단의 G1 그래프와 같이 모든 정점이 간선으로 모두 연결되어 있는 형태, 즉 연결이 최대로 이뤄진 그래프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4)

임계 경로를 각 경로 상에 시간이 주어질 때 그 시간이 가장 길게 소요되는 경로입니다.

1-201쪽의 50번 문제를 풀어보면서 임계 경로의 개념을 한 번 더 확인하세요.

5)

이미 순서화된 파일의 의미는 "삽입될 위치가 확인된 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각 회전에서 삽입될 위치가 확인된 후 삽입될 값이 순서에 맞게 삽입되므로

삽입될 위치가 확인된 후 새로운 하나의 값이 순서에 맞게 삽입된다로 이해하시며 될 것 같습니다.

시험 문제로 나온 내용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문구의 직접적인 이해가 어려운 경우가 있으니 이점 학습에 참고하세요.

6)

X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비교되는 노드들의 위치값인 L.L(왼쪽 노드), R.L(오른쪽 노드)를 i에 기억시키는데, 그 i가 0인 경우 즉 Nil 포인트인 경우에는 원하는 X를 찾기 못한 경우입니다. 즉 i가 0인 경우는 i에 Nil 포인트가 기억되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7-08-16 10:16:44

    안녕하세요.

    1)

    트리 그림에서의 오른쪽이나 왼쪽이 아니라

    운행법에 따라 운행한 순서에서 오른쪽이나 왼쪽을 의미합니다.

    1-169쪽의 예제에서 D 노드의 왼쪽 노드인 H가 Nil이므로 D 노드의 직전에 검사된 노드인 H를 포인터를 사용하고

    C 노드의 오른쪽 노드인 G가 Nil이므로 C 노드의 직후에 검사될 노드인 G 노드가 포인터로 사용됩니다.

    이 내용이 문제로 출제되면 1-198쪽의 18번 문제와 같이 출제되니 해당 문제를 풀어보면서 한 번 더 확인해 보세요.

    2)

    단순 경로와 기본 경로의 개념은 비슷한데 기준을 간선으로 하는지 정점으로 하는지의 차이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관련 자료가 부족하여 좀 더 자세한 답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3)

    1-171쪽 상단의 G1 그래프와 같이 모든 정점이 간선으로 모두 연결되어 있는 형태, 즉 연결이 최대로 이뤄진 그래프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4)

    임계 경로를 각 경로 상에 시간이 주어질 때 그 시간이 가장 길게 소요되는 경로입니다.

    1-201쪽의 50번 문제를 풀어보면서 임계 경로의 개념을 한 번 더 확인하세요.

    5)

    이미 순서화된 파일의 의미는 "삽입될 위치가 확인된 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각 회전에서 삽입될 위치가 확인된 후 삽입될 값이 순서에 맞게 삽입되므로

    삽입될 위치가 확인된 후 새로운 하나의 값이 순서에 맞게 삽입된다로 이해하시며 될 것 같습니다.

    시험 문제로 나온 내용을 그대로 적용하다보니 문구의 직접적인 이해가 어려운 경우가 있으니 이점 학습에 참고하세요.

    6)

    X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비교되는 노드들의 위치값인 L.L(왼쪽 노드), R.L(오른쪽 노드)를 i에 기억시키는데, 그 i가 0인 경우 즉 Nil 포인트인 경우에는 원하는 X를 찾기 못한 경우입니다. 즉 i가 0인 경우는 i에 Nil 포인트가 기억되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