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단계 상호 연결망이란 공유 버스 방식과 스위치 방식을 혼합한 형태로 다단계 상호 연결망의 한 형태가 다중 포트 기억장치 연결 방식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둘은 유사한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중 처리기라고 하면 프로세서간 상호작용이 밀접한 강결합 시스템인 공유 기억장치 시스템을 말하는데,
엄밀히 구분하면
다중 처리기는 공유-기억장치 시스템과 분산-기억장치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교재 3-126쪽 1번 문제에서 제시된 다중 처리기는 공유-기억장치 시스템을 묵시적으로 내포한 것으로 강결합 시스템의 특징을 나열하고 있습니다.
이와 달리 질문주신 3-143쪽의 39번 문제와 같이
문제에서 공유 기억장치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이라고 언급된 경우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을
공유-기억장치 시스템과 분산-기억장치 시스템으로 분류해서 생각해야 합니다.
공유-기억장치 시스템(강결합) : 버스 연결 방식, 크로스바 연결 방식, 다단계 상호망 연결(다중 포트 기억장치 연결)
분산-기억장치 시스템(약결합) : 큐브(하이퍼큐브), 선형, 원형, 매시형 등
교재에서는 공유-기억장치와 분산-기억장치에 대한 명확한 구분 없이 설명이 되어 있어 혼동되신 것 같습니다.
정리하면
일반적으로 다중 처리기라 하면 공유-기억장치 시스템으로 강결합 시스템이지만
다중 처리기 중에서 하이퍼큐브는 분산-기억장치 시스템으로 약결합 시스템입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교재에 추가적으로 수록하도록 학습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7-17 11:21:02
안녕하세요.
다단계 상호 연결망이란 공유 버스 방식과 스위치 방식을 혼합한 형태로 다단계 상호 연결망의 한 형태가 다중 포트 기억장치 연결 방식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둘은 유사한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중 처리기라고 하면 프로세서간 상호작용이 밀접한 강결합 시스템인 공유 기억장치 시스템을 말하는데,
엄밀히 구분하면
다중 처리기는 공유-기억장치 시스템과 분산-기억장치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교재 3-126쪽 1번 문제에서 제시된 다중 처리기는 공유-기억장치 시스템을 묵시적으로 내포한 것으로 강결합 시스템의 특징을 나열하고 있습니다.
이와 달리 질문주신 3-143쪽의 39번 문제와 같이
문제에서 공유 기억장치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이라고 언급된 경우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을
공유-기억장치 시스템과 분산-기억장치 시스템으로 분류해서 생각해야 합니다.
공유-기억장치 시스템(강결합) : 버스 연결 방식, 크로스바 연결 방식, 다단계 상호망 연결(다중 포트 기억장치 연결)
분산-기억장치 시스템(약결합) : 큐브(하이퍼큐브), 선형, 원형, 매시형 등
교재에서는 공유-기억장치와 분산-기억장치에 대한 명확한 구분 없이 설명이 되어 있어 혼동되신 것 같습니다.
정리하면
일반적으로 다중 처리기라 하면 공유-기억장치 시스템으로 강결합 시스템이지만
다중 처리기 중에서 하이퍼큐브는 분산-기억장치 시스템으로 약결합 시스템입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교재에 추가적으로 수록하도록 학습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