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68
3번 문제. 객체지향 데이터 모델이 정답이라고 나와있는데요 2장 section들에 객체지향 데이처 모델의 내용이 나와있지 않더라구요~ 혹시 객체지향 데이터 모델을 따로 공부해야 할 정도로 시험에 자주 등장하나요? 궁금합니다.
4번 문제. 제가 이걸 틀렸는데 해답지에 해설이 안나와있더라구요 순서가 어떻게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1)
데이터 모델의 종류를 묻는 문제에서는 객체 지향 데이터 모델의 개념을 묻는 문제가 한 번 출제된 적이 있습니다. 그 만큼 출제 빈도는 낮습니다.
객체 지향의 개념은 데이터 모델이나 소프트웨어 공학 파트에서는 비슷한데, 주로 객체 지향과 관련해서는
소프트웨어 공학의 객체지향 S/W 공학 파트에서 출제됩니다.
데이터베이스 과목에서는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중심으로 학습하고 계층형과 망(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 정도까지만 파악해 두세요.
2)
산업기사에서 한 번 출제되었던 내용입니다.
데이터 모델링의 과정은 문제에 제시된
개체 정의 → 식별자 정의 → 상세화 → 통합 → 검증 순이라는 것만 가볍게 파악해 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7-05 09:16:09
안녕하세요.
1)
데이터 모델의 종류를 묻는 문제에서는 객체 지향 데이터 모델의 개념을 묻는 문제가 한 번 출제된 적이 있습니다. 그 만큼 출제 빈도는 낮습니다.
객체 지향의 개념은 데이터 모델이나 소프트웨어 공학 파트에서는 비슷한데, 주로 객체 지향과 관련해서는
소프트웨어 공학의 객체지향 S/W 공학 파트에서 출제됩니다.
데이터베이스 과목에서는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중심으로 학습하고 계층형과 망(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 정도까지만 파악해 두세요.
2)
산업기사에서 한 번 출제되었던 내용입니다.
데이터 모델링의 과정은 문제에 제시된
개체 정의 → 식별자 정의 → 상세화 → 통합 → 검증 순이라는 것만 가볍게 파악해 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