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기출문제 따라잡기 질문입니다.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82
조회수
451
작성일
2017-03-24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82

2번

보기 3번과 4번 사이에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PRODUCT는 관계형 대수의 연산자 인건 가요? PRODUCT이 들어가는 연산자는 CARTESIAN PRODUCT만 있는거 같아서요.

1-83

4번

이것도 보기 3번과 4번 사이에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힌트를 보고 3번이라고 했는데, 이 문제에서는 교차곱을 통한 차수의 연산은 덧셈이었지만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일때의 차수 계산법도 알고 싶습니다.

1-87

3번과 4번

3번에 보기 2번에서

"정규화는 이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중복성 및 종속성을 배제시키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라고 나와있습니다.

그런데 4번의 보기 1번에서는

"데이터의 종속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 현상에는 삭제 이상, 삽입 이상, 갱신 이상이 있다."라고 나와있습니다.

제가 여기서 궁금한 점은 3번의 보기 2번에서는 이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중복성 및 종속성을 배제시키는 방법으로 정규화를 사용한다고 하였습니다.

즉 이상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중복성과 종속성이라고 이해하였는데요.

4번에서는 옳지 않은 것이 보기 1번이라고 하였습니다.

4번의 보기 1번에서는 종속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현상이 삭제 이상, 삽입 이상, 갱신 이상이 있다라고 하였는데 옳지 않다라고 나와서요...

제가 어디부분에서 이해를 잘못한걸까요?...

1-108

4번

4번의 보기 3번이 이해가 조금 안가서요.

SQL 언어 자체가 용도에 따라 DML에 해당된다라는건 에초에 SQL 언어는 DML에 속하는 언어였다는건가요?

SQL 언어로 DDL, DCL 언어를 만들수 있었는데... 갑자기 용도에 따라 DML에 속하는 언어라고 해서요....

제가 이해를 못한거 같습니다. 조금만 보충설명좀 부탁드립니다.

1-111

1번과 4번

1번의 보기 2번과 4번의 보기 2번 둘다 내용은 같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내장 SQL문에 사용되는 호스트 변수는 콜론을 앞에 붙인다가 맞는거 아닌가요?....

내장 SQL = SQL로도 볼 수 있는건가요?

마지막 질문입니다.

제가 예상문제 은행을 풀고 있는데요. 생각보다 많이 틀리게 되더라구요...

저번에 조언해주신것처럼 예상문제은행은 풀이를 보고 암기를 하는 쪽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다고 하셨는데...

그럼 실제 시험에서도 예상문제은행과 똑같은 문제가 나오나요?

1~3개 틀릴때는 그렇구나 하고 생각했는데 5~10개 씩 틀리니까 ... 걱정이되서요 ㅠㅠ

답변
2017-03-27 15:49:35

안녕하세요.

1)

순수 관계 연산자는 select, project, join, division 이렇게 4가지가 있습니다.

2)

아직까지 교차곱 이외에 다른 연산자의 차수나 카디널리트를 묻는 문제는 없었습니다.

3)

데이터베이스는 중복이 배제될 수 있는 여러 장치를 마련해 두었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중복을 시키는 경우에는 중복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복된 데이터를 정규화라는 과정으로 통해 중복을 배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죠.

사용자가 중복된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여러가지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상 현상이 제거되도록 정규화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정규화를 통해 중복은 배제될 수 있게 됩니다.

4)

SQL을 굳이 사용 용도에 따라 분류한다면 SQL을 이용해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DML로 분류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5)

문제에서 이미 내장SQL에 대한 설명이라고 언급했으므로

내장SQL이라는 전제 조건 하에서 문장들을 이해해야 할 것 같습니다.

6)

우선 틀린 문제들은 모두 체크해 두세요.

틀린 이유는 교재의 내용을 벗어난 내용이라 생소하거나 깊이있게 들어가 난해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 시험 전까지도 계속해서 틀린 문제로 체크되어 있다면 최종적으로는 문제와 답만 기억해 두세요.

그러한 출제 비중 낮은 문제보다는 출제 비중이 높은 문제에 시간을 투자하여 아무래도 확실한 점수를 얻을 수 있는 문제를 챙기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7-03-27 15:49:35

    안녕하세요.

    1)

    순수 관계 연산자는 select, project, join, division 이렇게 4가지가 있습니다.

    2)

    아직까지 교차곱 이외에 다른 연산자의 차수나 카디널리트를 묻는 문제는 없었습니다.

    3)

    데이터베이스는 중복이 배제될 수 있는 여러 장치를 마련해 두었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중복을 시키는 경우에는 중복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복된 데이터를 정규화라는 과정으로 통해 중복을 배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죠.

    사용자가 중복된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여러가지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상 현상이 제거되도록 정규화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정규화를 통해 중복은 배제될 수 있게 됩니다.

    4)

    SQL을 굳이 사용 용도에 따라 분류한다면 SQL을 이용해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DML로 분류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5)

    문제에서 이미 내장SQL에 대한 설명이라고 언급했으므로

    내장SQL이라는 전제 조건 하에서 문장들을 이해해야 할 것 같습니다.

    6)

    우선 틀린 문제들은 모두 체크해 두세요.

    틀린 이유는 교재의 내용을 벗어난 내용이라 생소하거나 깊이있게 들어가 난해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 시험 전까지도 계속해서 틀린 문제로 체크되어 있다면 최종적으로는 문제와 답만 기억해 두세요.

    그러한 출제 비중 낮은 문제보다는 출제 비중이 높은 문제에 시간을 투자하여 아무래도 확실한 점수를 얻을 수 있는 문제를 챙기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